자동차에서 나오는 CO2 배출가스 저감: 지속적인 혁신 추구

약 10년 전 자동차 업계는 과도한 CO2 배출하는 자동차에 상당한 금액의 벌금을 부과하는 유럽 연합의 법률 제정을 준비하고 있었습니다. 정확하게 말하면 유럽에서 판매되는 자동차 각각에 킬로그램당 120그램의 제한을 초과하는 CO2 1그램당 95유로의 벌금을 부과하는 것입니다.

당사의 폴리아미드 46 제품인 Stanyl은 체인에 저마모 플라스틱 가이드로 사용되어 타이밍 체인 가이드 시장에서 그리 크지 않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사실상 이 제품은 시장에서 제공되는 최저 마찰 소재로 우리는 알고 있는 사실이었지만, 대형 자동차 제조업체들에게는 비교적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었습니다. 전체 타이밍 체인 시스템은 마찰로 인한 연비 및 배출가스에 실제적 영향을 끼칩니다.. 이 사실을 곧 제정될 입법과 연관시켰고, 우리 앞에 진정한 기회가 있음을 보았습니다!

지금도 기억이 나지만, 저는 지난 2009년 어느 토요일 아침, 한 주의 긴 업무를 뒤로하고 부엌에 앉아 코드를 깨고 Stanyl의 마찰 성능과 그로 인한 CO2 배출량을 낮추기로 결심했습니다. 아내는 오전에는 외출 중이었기 때문에 직접 커피를 내리고는 계산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계산을 끝냈을 때 나는 바로 뭔가 큰 것을 알아냈다는 것을 알아차렸습니다. 마찰 효과는 Stanyl 원료에 1유로를 추가하면 제조업체는 95유로의 배출가스 벌금을 피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타이밍 체인 시스템에 Stanyl을 사용했을 때의 잠재 가치를 이해한다면 우리는 이를 직접 고객-타이밍 체인 시스템 공급업체뿐만 아니라 자동차 제조업체에게도 알려야 할 필요가 있음을 알게 됐습니다. 결국 자동차 제조업체가 벌금을 내야하기 때문이었죠! 이들에게 Stanyl의 가치를 확신시킬 수 있다면 자동차 제조업체가 시스템 제공업체에게 이 소재의 사용을 지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10년 Stanyl을 시험했던 첫 OEM이 모든 새 엔진에 Stanyl을 지정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멈추지 않았습니다. 이는 단순한 과학 프로젝트가 아니었습니다. 이는 실제 비즈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진정한 혁신이며 이 가치를 보다 더 높이고 싶었습니다. 우리는 마찰이 더 적은 소재, 즉 Stanyl HGR2를 만들었고, 한 모델의 엔진을 개선하려고 했던 자동차 제조업체와 다시 협업했습니다. 가능한 최상의 연비에 중점을 두고 HGR2를 철저히 시험했습니다. 그리고 마침내 해냈습니다! 이 업체는 한 모델의 엔진에 이 소재의 사용을 검증했고, 이로 인해 당사는 2017 SPE(Society of Plastics Engineers, 플라스틱공학자협회) Automotive Innovation Award를 수상을 했습니다. 우리 모두에게 정말 자랑스러운 순간이었습니다. 이는 자동차 제조업체에게 가치 있는 파트너가 되기 위한 당사의 수년간의 노력에 정점이었습니다.

이 성공에서 가장 큰 요인은 우수한 국제적인 협업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한 협업이 없었더라면 달리 이뤄낼 수 없었을 것입니다. 일본의 제조업체들은 중국의 제조업체들과 다르고, 유럽과 미 대륙의 제조업체들과도 또 다릅니다. 당사의 소재에 대한 논점은 같지만 확신을 주기 위해서는 각 기업마다 약간 다른 방식으로 이야기를 해야 합니다. 우리는 전 세계에 이를 아는 전문가들이 있고, 굉장히 인상 깊은 일이었습니다. Bright Science임무를 수행하지 않는다면 DSM이 될 수 없으니 이런 소재의 잠재성을 지속적으로 탐구합니다.

마찰을 현저히 더 줄일 수 있을까요? 이 회사에서 일하면서 가장 즐기는 것 중 하나는 모험을 하고, 참여하고, 기회를 잡는 데 큰 제약이 없다는 점입니다!

지페 반 루이텐(Jippe van Ruiten)

DSM Engineering Materials, 자동차 어플리케이션 개발 매니저

Published on

20 March 2018

Tags

ABOUT THE AUTHOR

지페 반 루이텐(Jippe van Ruiten)

DSM Engineering Materials, 자동차 어플리케이션 개발 매니저

지페 반 루이텐은 DSM Engineering Materials의 자동차 어플리케이션 개발 매니저입니다. 그는 흐로닝언 대학교에서 고분자 물리학을 전공했고, 졸업 후 1988년 DSM에서 커리어를 시작했습니다.

월간 뉴스레터 구독

플라스틱, 신제품 및 이벤트에 대한 최신 소식을 구독하시려면 아래에 이메일 주소를 남겨주십시오.

사업자 : 디에스엠엔지니어링머티리얼즈코리아(주)
대  표 : 문수현
사업자등록번호 : 120-81-85618
주  소 :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24 전국경제인연합회회관 9층
대표번호 : 02-2055-5780   팩스 : 02-2055-5790